제주시 조천도서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시 조천도서관은 1999년 조천읍도서관으로 개관하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운영하는 공공 도서관이다.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로 이관되었다가 제주시로 사무가 이관되었고, 2008년 조천도서관으로 개칭되었으나 201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2018년 조직 개편 이후 제주시 문화관광체육국 산하 우당도서관에서 관리한다. 2022년 10월 기준 67,854권의 도서와 2,391점의 비도서를 소장하고 있으며, 일반열람실, 종합자료실, 정보이용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제주시 조천읍에 거주하거나 제주특별자치도 내 직장, 학교에 다니는 만 7세 이상 도민, 외국인 등이 회원 자격을 얻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시의 교육 - 국립제주박물관
국립제주박물관은 제주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전시, 연구하는 기관으로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다양한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제주읍성 모형, 고산리 유적, 삼별초 관련 유물 등이 주요 전시품이다. - 제주시의 교육 - 제주특별자치도한라도서관
제주특별자치도한라도서관은 2008년 개관한 전국 최초 지역대표도서관으로, 제주특별자치도의 도서관 정책 평가 및 지원, 다양한 장서와 자료 소장, 그리고 자료실 중심 운영이 특징이며 도민, 직장인, 학생, 거주 외국인에게 도서 대출 서비스를 제공한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도서관 - 제남도서관
제남도서관은 1996년 개관하여 2009년 제주특별자치도 평생학습관으로 지정된 서귀포시 남원읍 소재의 도서관으로, 지역 주민의 지식 함양과 문화 활동을 지원하며 강당, 자료실, 열람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자료 대출 서비스를 제공한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도서관 - 제주특별자치도한라도서관
제주특별자치도한라도서관은 2008년 개관한 전국 최초 지역대표도서관으로, 제주특별자치도의 도서관 정책 평가 및 지원, 다양한 장서와 자료 소장, 그리고 자료실 중심 운영이 특징이며 도민, 직장인, 학생, 거주 외국인에게 도서 대출 서비스를 제공한다. - 제주특별자치도청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제주특별자치도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 미군정 시기부터 현재까지 역대 도지사들이 재임했으며,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부터는 주민 직선으로 선출된다. - 제주특별자치도청 - 기당미술관
기당미술관은 강구범씨의 소장품 기탁으로 1987년 개관한 개인 소장품 기반의 미술관으로, 변시지 상설전시실과 기획전시실, 야외전시장 등을 갖추고 매주 월요일을 제외하고 운영된다.
제주시 조천도서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제주시 조천읍도서관 |
개관 | 1999년 4월 12일 |
국가 | 대한민국 |
소재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일주동로 1189 |
관리 주체 | 제주특별자치도 |
운영 주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문화산업국 우당도서관 (행정부서) |
소장 자료 | |
도서 | 67,854권 |
비도서 | 2,391점 |
기타 | |
홈페이지 | 제주시 조천읍도서관 홈페이지 |
2. 연혁
1999년 북제주군(지금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이 조천읍도서관이라는 이름으로 개관하였다. 2002년 북제주군의 조직 개편으로 문화공보과 소속이 되었다가, 2006년 북제주군이 없어지면서 제주특별자치도로 이관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의 조례 개정으로 2007년 도서관 업무가 제주시로 이관되면서, 우당도서관이 조천읍도서관, 제주 기적의 도서관을 관리하게 되었다. 2008년에는 조천도서관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2014년에 다시 조천읍도서관으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2. 1. 1999년 ~ 2006년
1999년에 제주도 북제주군(지금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이 조천읍도서관이라는 이름으로 개관하였다. 2002년 북제주군이 직제를 개편함에 따라 문화공보과에 소속되었다. 2006년 북제주군이 폐지되면서 제주특별자치도로 이관되었다.2. 2. 2006년 이후
2006년 북제주군이 폐지되면서 제주특별자치도로 이관되었다.그러나 제주특별자치도의회가 6개월여만에 도서관 업무를 관할 행정시장이 맡도록 조례를 개정하면서, 2007년에 제주특별자치도의 도서관 중 우당도서관, 탐라도서관, 애월읍도서관, 한경면도서관, 조천읍도서관, 제주 기적의 도서관의 사무가 제주시로 이관되었다. 제주시는 문화산업국에 우당도서관과 탐라도서관을 두고, 이관 받은 도서관 중 조천읍도서관, 제주시 기적의 도서관을 우당도서관이 관리하도록 하였다.
이후 2008년 제주특별자치도 공공도서관 설치 및 운영조례가 제정되고 조천읍도서관은 조천도서관으로 개칭되었으나, 2014년 다시 한번 도서관의 명칭 변경에 따라 현재 조천읍도서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2018년 조직개편 등에 따라 제주시 문화관광체육국 산하 우당도서관에서 제주시 기적의도서관, 조천읍도서관을 관리하고 있다.
3. 현황
제주시 조천도서관은 2022년 10월 기준 도서 67,854권, 비도서 2,391점을 소장하고 있다. 도서관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일주동로 1189에 위치하고 있다. 자료실, 일반열람실, 정보이용실, 다목적강당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회원 자격, 자료 대출 규정은 하위 섹션을 통해 알 수 있다.
3. 1. 소장 자료
截至|지에즈중국어 2022년 10월 기준 도서 67,854권, 비도서 2,391점을 소장하고 있다.3. 2. 시설
도서관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일주동로 1189에 위치하고 있다. 자료실 및 편의시설 배치는 다음과 같다.- 지하 1층: 서예실, 서고
- 1층: 일반열람실, 정보이용실, 다목적강당
- 2층: 종합자료실, 휴게실